김종원"우리나라에서는 ‘프로파간다’를 선전이라고 역하고 PR도 그렇게 해석하고 있는 분이 많습니다. …선전은 상대방의 인격이나 윤리를 무시하고 행할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라면 PR은 어디까지나 상대방의 인간성을 존경하고 상대방의 이해를 받음으로써 호의를 소구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더 철학을 가진 고도의 인간활동입니다."얼마 전에 선전과 PR을 비교한 글을 하나 읽었습니다. 1961년 2월호 잡지에 실렸던 윤동현 님의 글 중 일부입니다. 2011년 6월 23일 김석훈그렇죠. 그래서 커뮤니케이션 학문에서는 '선전'이라는 단어는 사용을 하지 않고 있죠. 선전이 '강요'라면 PR은 '공감'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성진신종어에 대한 의미 부여를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개념정의를 한 것..
선전 [ propaganda , 宣傳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인간집단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행하는사실 또는 허위에 입각한 계획적인 정보전달활동.광고나 PR 등은 선전의 하위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광고나 PR에서 사용되는 선전은 진실에 입각한 퍼블리시티(publicity)이다.선전은 전쟁이나 국가적 위기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역사적 국면에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그러한 상황에서 매스 미디어는 특정한 이슈에 대한어떤 의견 및 태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감정적이고대규모적이며 체계적인 시도에 동원된다.따라서 선전은 수용 대중에게서 일정한 반응을 창출 또는 강화하기 위해 고안된대중 설득의 특수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한편 선동은 언어 등과 같은 상징을 통해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신념을 의도..
- Total
- Today
- Yesterday
- 세미나
- 사진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동료
- 책
- 감사
- 홍보도구
- 디자인
- 배포
- 홍보물
- 소스
- 홍보사회사업
- 사회사업
- 사회복지홍보
- 사회복지기관
- 비영리단체
- 생활시설
- 홍보
- 사회복지사
- 소통
- 소셜프리즘
-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
- 사회복지
- 비영리
- 매체
- PR
- 홍보담당자
- 효과
- 소식지
- 글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