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기관 홍보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인쇄할 수 있는 자리가 남았습니다. 그 자리를 어떻게 활용할까 궁리하다가 소셜프리즘 홍보물을 만들었습니다. 소셜프리즘 모임을 홍보하는 내용이라기 보다는 소셜프리즘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히 보여주는데 노력했습니다. 앞장은 PR에 관해서 감동적으로 읽었던 글을 적었습니다. 1961년도에도 PR에 대해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우리의 실천은 아직 미약하지요. 뒷면은 소셜프리즘에 활동하시는 홍보담당선생님의 의견을 모아 글을 담았습니다. 약 500 장을 만들었습니다. 자기 지역 홍보담당자 분들에게 나눠주실 분을 신청을 받았습니다. 배포하는데 동참해주시는 분들에게는 원하는대로 약 20장~60장을 보내드렸습니다. 그렇게 배포하고 남의 200여장은 소셜프리즘 세미나에 참석하신 분들에게..
강현양 사회복지사 (서초구립 한우리정보문화센터 전략기획팀) 서울사회복지사신문에 기고한 글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을 알리고, 동참하게 유도하기 위한 홍보의 영역은 매우 넓고 공부해야 할 것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 SNS, 소식지, 블로그, 브로슈어, 프로그램안내지, 모바일 앱, 이벤트, 우편물발송, 현수막, 문자, 게시판, 언론홍보, 인터넷방송, 기관견학, 영상물제작 등등 정말 많은 것들이 있는데 이 많은 기술과 도구에 다 대응할 필요는 없겠으나 무엇을 선택하고 집중할지 참 고민스럽습니다. 홍보담당자 여러분들은 어떤 접근방법을 활용하고 계신가요?" 조금은 공감하시나요? 이글은 사회복지기간 홍보 논의 그룹인 '소셜 프리즘'에 올린 글의 일부입니다. 어쩌면 많은 홍보담당자들이 고민하고 있는 부..
- Total
- Today
- Yesterday
- 비영리
- 사회복지
-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
- 생활시설
- 사회복지사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세미나
- 비영리단체
- 홍보담당자
- 소통
- 소셜프리즘
- 디자인
- 매체
- 배포
- 동료
- 책
- PR
- 홍보사회사업
- 효과
- 감사
- 사회복지홍보
- 홍보
- 소식지
- 사회복지기관
- 소스
- 홍보도구
- 사회사업
- 홍보물
- 사진
- 글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