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래 글 또는 사진을 누르면 관련 콘텐츠로 이동합니다.
1. 0.01초도 안 되는 찰나 오만한 내 자신과 마주쳤다

ohmynews.com
"신고" 라는 단어 말고, 다른 단어 많을 텐데~ 정 없으면 그냥 "전화주시면" 이라도~~ 마치 어렵고 소외된 것이 범죄처럼 느껴지는 문구인듯~ 저만 그런건가요?

facebook.com
이 두 장의 사진... 두 사람의 개인차일까요? 아니면 나라 간 인권 감수성의 차이일까요?
facebook.com
hani.co.kr

facebook.com
6. ‘세 살배기 난민’ 주검 사진, 모자이크 해야 했을까요?

hani.co.kr
facebook.com
8. 구글에서 ‘poverty(빈곤)’에 대해 검색했을 때
facebook.com
facebook.com
10. 사회복지현장의 모금 패러다임 전환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kafp.or.kr
11. [오승훈의 공익마케팅①] ‘빈곤 포르노’의 마케팅 심리학
facebook.com
tistory.com
13. 펀드레이징 캠페인을 혁신하라!:Poverty porn에 담긴 불편한 시각 덜어내기
베이지색 틸리모자를 쓰고 인자한 표정을 한 여자연예인이 어느 흑인 아이에게 다가옵니다. 아이의 슬픈 사연을 듣다가 안타까운 듯 고개를 숙이고 눈물을 흘리기 시작합니다. 아이가 조용히 여자연예인의 손을 잡으며 말합니다. “캠페인 광고 처음이신가 봐요?” 물론 현실에 이런 자선캠페인 전문 배우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 영상에서 희화화된 장면들이 우리가 접했던 펀드레이징 캠페인의 전형적인 모습이라는 데 동감했다면, 노르웨이 학생들이 이 재치 있는 영상을 만든 의도를 절반은 파악한 셈입니다. 이 영상이 제기하는 문제는 ‘Poverty Pornography(이하 Poverty porn)’입니다. ‘Poverty porn’란, 기부 모금 캠페인이나 신문 등 미디어에서 빈곤을 자극적으로 묘사하여, 대중들로 하여금 동정심을 불러일으켜 모금, 지지 등을 유도할 목적으로 쓰이는 사진들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Poverty porn는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일까요? 또 우리는 이에 대해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요?
impact business review
자주 가는 사이트에 언젠가부터 이런 후원 배너와 광고가 뜨더라구요. 볼때마다 화가 나고 짜증이 나네요.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 할 수 있는건가요? 어찌됐든 후원금만 많이 모금하고, 전달하면 되는건가요?
당사자의 슬픈 과거를 이렇게 드러내도 되는건가요? 참 개탄스럽습니다.
사회복지기관 홍보논의
facebook.com
16. 언제까지 이런식의 기부캠페인을 해야 하는 거죠?
facebook.com
sc.or.kr
youtube.com
가난한 나라의 어린이를 돕기 위해 빈곤을 자극적으로 묘사하여 동정심을 일으키는 모금운동 방식을 '빈곤 포르노(Poverty Pornography)'라고 한다. 말초신경만을 자극하는 포르노에 빗대어 하는 말이다. 많은 국제개발협력 단체들은 언론에 노출되는 어린이의 인권은 무시하고, 호혜를 베푸는 쪽의 선의만 부각시키는 비윤리적인 모금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열악한 현지 사정은 생각도 않고, 몇 천만 원의 사례비와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메이크업과 헤어를 담당할 코디까지 서너 명의 수행원을 대동한 연예인들의 봉사활동은 빈곤 포르노의 절정이다. 그들의 활동은 언론을 통해 기사와 다큐, 화보로 소속사의 사진전 등으로 칭찬 속에 확대 재생산된다.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수잔 손택의 '타인의 고통' 책을 적극 추천합니다. 나와 관계없어 보이는 타자를 이미화하여 소비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적나라하게 까발리는 책입니다. 주로 전쟁 속 참혹한 이미지를 다루는데 조금 상상력만 펼치면 이미지 속에 갇힌 약자의 이미지로 대입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연민으로 공감하여 나의 일로 여기기 보다는 나와 다른, 나 주변에 없는 존재로, 가상의 모습으로 여기게 만드는 현상에 대해 비판합니다. 사회복지계가 만드는 이미지도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기를 바라지만 시간이 없거나, 책이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이동진을 빨간책방' 팟케스트에서 말하는 '타인의 고통'을 듣어보세요.
팟캐스트
22. 설민석의 '타인의 고통' 7분 요약👨🏫 거짓 이미지와 뒤틀린 진실 속에 있는 우리
23. 대상화하지 않고 가난을 말하는 법 [구술생애사 작가 최현숙]
무엇을 홍보하나요? 어떤 시각으로 담나요? 그 매체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요? 당신이 만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불쌍한 사람인가요?
담롱
24. 사람을 단어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고민해봅시다.
재미진 기사가 있어서 퍼왔습니다. 삼실서 혼자 빵터졌네요 ㅎㅎㅎ 보도자료 문제인지 언론사 문제인지 궁금~ 열분들도 발견하셨죠? 댓글 읽어보세요.
'사회복지홍보포켓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사회복지가치 | 사회복지 홍보 (0) | 2017.09.19 |
---|---|
1-1 홍보기획 | 사회복지 홍보 - 사회복지 가치 (2) | 2017.09.19 |
1-3 지역홍보 | 사회복지 홍보 - 사회복지 가치 (0) | 2017.09.19 |
1-4 동료협력 | 사회복지 홍보 - 사회복지 가치 (0) | 2017.09.19 |
2. PR | 사회복지 홍보 (0) | 2017.09.19 |
- 티스토리
- 디스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