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1~22일 지식나눔연구소에서 소셜프리즘 강좌를 진행했습니다.소셜프리즘 강좌가 끝난 후에 사진, 동영상 팀, 홈페이지, SNS 팀, 홍보 전반에 대한 이야기 나누는 팀,소식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팀.이렇게 네 팀을 나눠서 토의를 한 후에 함께 발표를 부탁드렸습니다. 두 번째로 발표한 이슬아 선생님의 발표내용입니다.소식지를 어떻게 만들과 활용할지에 대해 이야기 해주시네요. 1. 소식지를 만들 때 단체사진을 넣지 않는다.사람 이야기, 관계 이야기를 담고 싶다. 2. 보도자료 형식의 소식지를 만들지 않으면 좋겠다.구어체로 이야기하는 듯이 만들면 좋겠다.글씨를 읽기 쉽게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3. 소식지를 제대로 기획을 해서 지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면 좋겠다.이용자와 주민과의 관계를 통해 ..
3월 21~22일 지식나눔연구소에서 소셜프리즘 강좌를 진행했습니다.소셜프리즘 강좌가 끝난 후에 사진, 동영상 팀, 홈페이지, SNS 팀, 홍보 전반에 대한 이야기 나누는 팀,소식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팀.이렇게 네 팀을 나눠서 토의를 한 후에 함께 발표를 부탁드렸습니다. 첫 번째로 발표하신 손정원 선생님께서 사진과 동영상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면 좋겠다고 하시네요.1. IPTV에 표정이 담긴 슬라이드쇼 사용2. 행사 후 사진을 전시회 또는 CD집 처럼 만들어서 공유3. 사진에 사람을 잘 뽑아서 홍보물에 활용4. 사회복지, 사회복지사의 가치, 뜻을 담은 사진 명함을 제작 사진과 동영상을 고민하시는 여러분이라면 이 정보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어느 기관 홍보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인쇄할 수 있는 자리가 남았습니다. 그 자리를 어떻게 활용할까 궁리하다가 소셜프리즘 홍보물을 만들었습니다. 소셜프리즘 모임을 홍보하는 내용이라기 보다는 소셜프리즘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히 보여주는데 노력했습니다. 앞장은 PR에 관해서 감동적으로 읽었던 글을 적었습니다. 1961년도에도 PR에 대해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우리의 실천은 아직 미약하지요. 뒷면은 소셜프리즘에 활동하시는 홍보담당선생님의 의견을 모아 글을 담았습니다. 약 500 장을 만들었습니다. 자기 지역 홍보담당자 분들에게 나눠주실 분을 신청을 받았습니다. 배포하는데 동참해주시는 분들에게는 원하는대로 약 20장~60장을 보내드렸습니다. 그렇게 배포하고 남의 200여장은 소셜프리즘 세미나에 참석하신 분들에게..
강현양 사회복지사 (서초구립 한우리정보문화센터 전략기획팀) 서울사회복지사신문에 기고한 글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을 알리고, 동참하게 유도하기 위한 홍보의 영역은 매우 넓고 공부해야 할 것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 SNS, 소식지, 블로그, 브로슈어, 프로그램안내지, 모바일 앱, 이벤트, 우편물발송, 현수막, 문자, 게시판, 언론홍보, 인터넷방송, 기관견학, 영상물제작 등등 정말 많은 것들이 있는데 이 많은 기술과 도구에 다 대응할 필요는 없겠으나 무엇을 선택하고 집중할지 참 고민스럽습니다. 홍보담당자 여러분들은 어떤 접근방법을 활용하고 계신가요?" 조금은 공감하시나요? 이글은 사회복지기간 홍보 논의 그룹인 '소셜 프리즘'에 올린 글의 일부입니다. 어쩌면 많은 홍보담당자들이 고민하고 있는 부..
글 김동현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원SNS과 사회복지사 소셜워커 잡지 2011년 12월호 내용 홍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들 지난 10월 31일(월) 전국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홍보담당자 300여 명이 한곳에 모였다. ‘전국 사회복지기관 홍보담당자를 위한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가 열린 것. 세미나는 전국의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기관에서 어떻게 홍보를 해야 할지?’, ‘홍보담당자로서 ‘홍보’를 통해 어떻게 사회복지 실천을 할지?‘, ‘어떻게 하면 보다 재미있고 가치 있는 홍보를 펼칠 수 있을지?’를 한곳에서 고민하는 자리였다. 지난 9월 3일(토) ‘제2차 전국 16개 시·도 사회복지사협회 사무국장단 회의’를 통해 ‘전국 사회복지기관 홍보담당자를 위한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를 개최하기로 했..
전국사회복지기관 홍보담당자를 위한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 참가자 인사말 영상입니다. 참여한 분들의 기대, 감사가 가득한 영상입니다. 참 감동입니다. 저는 이 영상에 큰 의의를 둡니다. 비록 영상이지만, 짧지만 참여하신 분들의 인사말이 가장 먼저 시작됐지요. 한계는 있지만 이런 방법으로 참여하신 여러분을 주체로 세워드리고 싶었습니다. 참여해주신 선생님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큰 자산입니다. 사회복지기관의 홍보 어떻게해야 할까요? 사회복지 홍보담당자로서 홍보로 무엇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할까요? 홍보를 재미나게, 가치있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요? 이러한 것을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사회복지 홍보의 역할, 방향성, 전문성, 방법론 등 다양한 ..
전국 사회복지기관 홍보담당자를 위한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 Why(사회복지와 커뮤니케이션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강연해주실 박일준 대표님의 영상입니다. 박일준 대표님은 사회복지 선배님이십니다. 인컴브로더라는 우리나라 1, 2위하는 홍보회사의 대표님이십니다. 방대욱 실장님께서 소개해주셨어요. 이분을 알게되어 제가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더욱 자주 뵈어서 많이 배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방적으로 알리는 홍보가 아닌, PR적 관점의 소통,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많은 홍보담당자분들이 공감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홍보담당자를 위한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는 2011년 10월 31일 10시 ~ 17시까지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진행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생활시설
- 매체
- 배포
- 사회복지사
- 소셜프리즘
- 세미나
-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
- 사회복지홍보
- 동료
- 소식지
- 홍보도구
- 디자인
- 사회복지기관
- 비영리단체
- 사회복지
- 소스
- 책
- 감사
- 홍보물
- PR
- 소통
- 사진
- 홍보사회사업
- 홍보
- 글쓰기
- 비영리
- 홍보담당자
- 사회사업
- 효과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