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초아홍보를 하는 이유가 뭘까요? 왜 홍보를 해야 할까요? 갑자기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2012년 5월 22일 백경진사회복지기관의 홍보담당자는 '무엇'을 홍보해야 할까요? 박춘기홍보! 저는 주간보호센터에 있다 보니 장애인에 대해 지역에 알리고 싶어요. 그것을 통해 장애인을 위한 일을 할 수 있는 자원연계의 목적도 있어요. 장윤정초반에는 자원연계가 목적이었어요.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사회복지에 대해 모르는 사람에게 동참의 기회를 준다는 의미도 있지 않을까요? 나누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몰라서 참여 못하는 사람을 위한 서비스라고나 할까요? 김종원'왜 홍보해야 하는가?' 에 직접적인 답은 아니지만 홍보의 목적으로 답변 드립니다. 사회복지 홍보의 목적 "지역사회가 친 복지적인 인식을 갖도록 만드는..
김종원"우리나라에서는 ‘프로파간다’를 선전이라고 역하고 PR도 그렇게 해석하고 있는 분이 많습니다. …선전은 상대방의 인격이나 윤리를 무시하고 행할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라면 PR은 어디까지나 상대방의 인간성을 존경하고 상대방의 이해를 받음으로써 호의를 소구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더 철학을 가진 고도의 인간활동입니다."얼마 전에 선전과 PR을 비교한 글을 하나 읽었습니다. 1961년 2월호 잡지에 실렸던 윤동현 님의 글 중 일부입니다. 2011년 6월 23일 김석훈그렇죠. 그래서 커뮤니케이션 학문에서는 '선전'이라는 단어는 사용을 하지 않고 있죠. 선전이 '강요'라면 PR은 '공감'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성진신종어에 대한 의미 부여를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개념정의를 한 것..
조용진PR은 크게 네 단계를 거쳐서 발전해 왔습니다. 이 네 단계는 대표적인 PR의 모델입니다. 첫번째는 언론대행/홍보 모형(Press-agentry model)입니다. 이 단계에서 언론보도는 무조건 좋다는 방식의 모형입니다. 노이즈 마케팅이나 네거티브 PR(Negative PR)과 같이 사실이든 아니든 무조건 조직에 대한 홍보 기사를 나오게 해서 공중들이 이를 알게 하는거죠. 두번째는 공공정보 모형(Public information model)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조직에 대한 진실된 보도를 정확하게 공중에게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모형입니다. 록펠러의 PR대행사가 록펠러의 십일조 등 신앙생활을 대중에게 있는 그대로 알리면서 록펠러의 이미지가 상당히 좋아졌다고 합니다. 세번째는 쌍방향 불균형 모델..
조용진 홍보의 정의에 대해서 의논을 많이 하네요. 제가 배운 PR의 정의에 대해서 간단히 올려 봅니다. 저는 숭실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언론홍보학을 복수전공합니다. 지난 학기에 PR론을 수강했습니다. 홍보는 영어로 PR(Public Relations)이라고 합니다. PR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한데요. 간단히 요약된 정의를 살펴보면 그루닉(Grunig)과 헌트(Hunt)가 1984년에 내린 정의는 조직과 공중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것(Manage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an organization and its publics)입니다. 기존의 PR의 정의를 바탕으로 이를 정리하면 PR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조직(Organization), 공중(P..
이옥겸드라마를 아주 좋아합니다. 너무 좋아해서 드라마를 안 보려 노력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일을 못하니까요. 그래서 일주일에 하나만 보려고 합니다. 그중 '보스를 지켜라'라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지난주에 시작했는데요. 1편에 보면 PR부서(흔히 홍보팀이라 하지요.) 직원이 회사의 CEO를 보호하고 조직의 안녕을 위해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특히 PR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위기관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내용 중 모 대기업 회장의 잘못된 자식사랑의 실제 상황을 이야기하는데요. 그 사건을 축소하기 위한 테스크포스팀을 만들어 국내외 언론사와 단체에 연락하고 지속적으로 살피려고 수십 억을 썼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게 다 PR의 역할이랍니다.2011년 8월 7일 김종원다음세대재단의..
사회복지 홍보논의 그룹(facebook.com/groups/socialprism)에서 2년간 500여 명의 홍보담당자가 400여 건의 글을 쓰며 사회복지 홍보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공유하기에 가치 있다고 판단하는 글을 분야별로 선별했습니다. 사회복지 홍보에 대해 일방적인 방향을 가르치는 책이 아닙니다. 사회복지 홍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음을 알리고 취사선택하도록 돕기 위한 책입니다.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를 1부 'PR과 미션', 2부 '홍보물', 3부 'IT도구'로 나눠 구성했습니다. 1부 'PR과 미션'에는 PR 등 홍보의 개념을 소개하고 PR을 사회복지기관의 비전, 정체성에 맞게 어떻게 적용할지를 논의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사회복지 조직의 상황을 고려하여 동료와 디자이너와 지역사회와..
오 전 시장 이름이 제목에 등장하는 보도자료는 전체의 12.7%박 시장 이름이 제목에 등장하는 보도자료는 12건으로 전체의 3.6%이 비교의 핵심이 무엇일까요?자랑하는 홍보와 자랑하지 않는 홍보 아닐까요? 박원순 ------------------------------------저의 서울시장 취임1주년을 평가하는 언론의 기사들이 넘쳤습니다. 대부분의 중요 신문에서 연재로 그동안 저의 시정 1년을 평가하는 연재기사들을 실었습니다. 이런 관심에 우선 감사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비판이 적지 않았지만 그래도 대체적으로는 호의적이라 저도 안도했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고맙고 감사한 평가는 경향신문 조호연 사회에디터의 글입니다. 그냥 들리는 소문이나 추상적인 논평이 아니라 구체적인 자료를 가지고 평가해 주..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전재일 선생님께서 페이스북 노트에 쓰신 글입니다. http://www.facebook.com/note.php?note_id=117365811681182 --------------------- 1. 일시 : 2011년 5월 6일(금) 15:30-17:00 2. 장소 : 301호 회의실 3. 참석자 : 김찬석 교수, 전재일 부장, 은신애 부장, 최선애 팀장, 고석우 사회복지사 (총5명) 4. 주요안건-홍보 시기 관련-홍보사업 진행 관련-홍보용 사진 활용 관련-SNS 효율적 활용방안 관련 5. 평가 및 논의사항 가. 복지관 전반적인 홍보사업에 대한 자문-지역사회복지관에서 본 기관만큼의 홍보에 대한 적극성을 가지는 것은 드믄 일임. 홍보나 커뮤니케이션은 마인드가 절반을 차지하는데 그런 의미에서..
- Total
- Today
- Yesterday
- 홍보담당자
- 비영리단체
- 디자인
- 생활시설
- 세미나
- 홍보물
- 배포
- 사회복지기관
-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
- 동료
- 사회복지사
- 사진
- PR
- 비영리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소스
- 홍보도구
- 사회복지홍보
- 사회복지
- 홍보
- 소셜프리즘
- 소식지
- 홍보사회사업
- 책
- 소통
- 매체
- 글쓰기
- 효과
- 감사
- 사회사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