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민이번 주에 소식지를 발간합니다. 사실 처음에 계획했던 내용이 조금씩 빠져나간 느낌이라 발간 후에 스스로를 자책하게 됩니다. 처음 계획서를 쓸 때 충만했던 열정을 담아내지 못한 점 때문인가 봅니다. 홍보사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가장 큰 어려움은 지지 세력이 기관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예전에 참 열심히 취재 나가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홍보사업에 열정을 쏟는 모습이 그다지 좋게 보이지는 않는가 봅니다. 다른 업무에 더 매진하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면 힘이 빠지곤 했는데……. 그런 이야기를 자주 듣다 보니 열정이 사라집니다. 여러분은 홍보사업에 대한 열정이 살아있습니까? 아쉽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홍보는 기관의 부수적인 업무라는 생각이 많아서 그런 것 같아요. 전담 홍보팀이 있는 것..
김종원'막내가 홍보업무를 한다.'라는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듣습니다. 여러분 기관도 그렇습니까? 주로 어떤 사람이 홍보업무를 맡나요? 신지은참 궁금한 내용입니다. 저는 홍보에 관심 있는 막내였던터라 다른 곳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서재민전임자가 홍보담당자라 자연스럽게 제가 맡게 되었네요. 관심이 많다 보니 홍보사업 전체를 맡게 됐어요. 김동균저희는 사업담당을 결정할 때 담당자가 어떤 것에 관심이 있고 추구하는지 고려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냥 업무 변경이나 담당 결정이 중간관리자와 관장님 선에서 정해져 내려옵니다. 저도 홍보 쪽에 관심이 있으나 업무가 다르다 보니 실행 못 하는 점이 많습니다. 서재민업무분장은 역시 실무자의 몫은 아니죠. 저는 제가 홍보사업 달라고 떼써서 받았습니다. 김동균지금 저희 기관..
박재훈이 공간을 통해서도 공모전에 대해 알렸고 공유하신 분이 많으셨죠. 공모전 블로그에 올린 글입니다. 마찬가지로 이곳에도 그 고마움을 담아 올립니다. 2012년 10월 29일조영민벤치마킹하고 싶어요. 수고하셨습니다. 박재훈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집계와 결과 발표도 중요합니다. 시상식 날 경과보고를 통해서도 말할 것입니다. 그런데 그 내용은 접수 마감이 지난 한참 후의 이야기겠지요. 접수 마감일. 그 날에 느낀 생각과 감사를 적어본 것입니다. 공모전에 출품하기까지의 응모자들이 공을 많이 드렸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박선자감동적인데요. 저는 공모전 담당자로 집계와 결과 발표만 급급했었지 이런 배려가 없었네요. 내년에 꼭 참고할게요. 김종원"그날에 느낀 생각과 감사." 잘 드러나요. 멋져요. 그리고 그 목표..
김기완꾸준한 토의 과정을 거쳐 태어난 미션과 비전이라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금 잊혀지기 쉬운데 기관의 미션과 비전이 기관을 방문하는 이용자, 그리고 직원의 마음속에 꾸준히 남도록 하는 '비용대비 최대효율성'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ex) 관내 상징물 설치 등2012년 5월 24일장윤정기관 BI나 CI에 그런 내용을 포함하도록 만들면 좋은데요. 모든 홍보물에 들어가니 계속 설명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무엇보다 직원 한 명 한 명이 계속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복지현장은 실무자가 자주 바뀌는 슬픈 현실 때문에 미션과 비전에 대한 공유가 지속적이지 못하는 것이 아쉽죠. 박승용소통. 복지관의 주인은 지역주민입니다. 지역사회로 되돌리는 일. 그 과정에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몸으로 마음으로, 그..
전재일혹시 사회복지계에도 '과대 광고'가 존재할까요? 존재한다면 기업광고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광고에 대한 정의(목적, 가치 등)가 중요하겠지만…….2011년 7월 7일 김종원참 재미있는 주제입니다. 일단 광고라는 용어를 홍보라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것도 과대 홍보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관 자랑을 너무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모집홍보와 기관홍보에 너무 집중하지 않으면 좋을 텐데요. 김기완저부터도 큰 성과 없더라도 그러한 시도만을 포장하여 보도하도록 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기관만 내세우려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합니다. 서재민과대 광고가 존재하죠. 사업 역시 평가를 위해서는 과대 포장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 같습니다. 평가를 위해, 실적을 위해 우리는 많은 것을 과대 포장하고 있..
정승열‘홍보로 사회사업하기’ 책 내용 중 기관의 자랑을 자제하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번 복지관에서 미술교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이용자분이 전국 대회에서 1등을 하셨어요. 국장님께서는 이것을 알리라고 하시네요. 이것은 분명 자랑하라고 하는 것 같은데 이용자 관점에서는 그렇게 하면 안 될 것 같은데……. 아이러니 합니다. 도와주세요.2012년 11월 7일 남궁준자랑할 만하네요. 자랑하세요. 전국대회 1등 하신 분을 자랑하세요. 김종원남궁준 선생님의 말씀이 맞아요. 1등을 만든 기관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1등을 하신 분을 자랑하면 되지요. 그분의 노력, 활동 등. 그렇게 할 수 있도록 기관이 조금 도와드렸다 또는 기관의 가치가 이러한데 1등 하신 그분이 뜻을 이루셨다! 이런 방식으로요. 손나리자랑할 만한 ..
김종원오 전 시장 이름이 제목에 등장하는 보도 자료는 전체의 12.7%박 시장 이름이 제목에 등장하는 보도 자료는 12건으로 전체의 3.6%이 비교의 핵심이 무엇일까요? 무엇을 홍보하는가? 아닐까요?박원순저의 서울시장 취임1주년을 평가하는 언론의 기사들이 넘쳤습니다. 대부분의 중요 신문에서 연재로 그 동안 저의 시정 1년을 평가하는 연재기사들을 실었습니다. 이런 관심에 우선 감사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비판이 적지 않았지만 그래도 대체적으로는 호의적이라 저도 안도했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고맙고 감사한 평가는 경향신문 조호연 사회에디터의 글입니다. 2012년 10월 30일김병희기관중심의 홍보, 자랑중심의 홍보, 내세우기 홍보 VS 지역중심의 홍보, 정체성중심의 홍보, 지역주민(동료) 세우기 홍보..
김종원양원석 선생님의 '공감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양원석 선생님의 발표는 참 재미있습니다. 공감 가는 이야기들이 많으니 많은 분이 보시면 좋겠습니다. 2011 소셜프리즘 세미나 양원석 선생님, 공감커뮤니케이션 발표 영상 2011년 12월 9일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linkClass=171107&barcode=9788997143078
- Total
- Today
- Yesterday
- 소스
- 비영리
- 동료
- 홍보사회사업
- 사진
- 매체
- 생활시설
- 글쓰기
- 소식지
- 사회복지 홍보를 말하다
- 홍보
- 사회사업
- 사회복지
- 디자인
- 효과
- 책
- 홍보도구
- 사회복지기관
- 세미나
- 소통
- 사회복지사
- 사회복지홍보
- 홍보물
- PR
- 비영리단체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배포
- 홍보담당자
- 소셜프리즘
- 감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